오늘은, 한희정이다.



<Drama> (2008)

[너의 다큐멘트] by 한희정



거짓말이었어요 내가

더 이상 그댈 사랑 아니한다고

고개를 떨굴 때 말이에요

그댄 울고 있었죠

<Drama>


'홍대여신' 한희정을 얘기할 때 흔히 붙는 수식어다. 그러나 그 단어 하나로 한희정의 음악세계를 설명하기엔 매우 많이 아쉽다. '홍대여신' 느낌이 나는 <우리 처음 만난 날>이나 <휴가가 필요해> 같은 곡들도 본질적으로 아주 다른 곡이다. 같은 '이별' 주제라도 기타 하나로 단순한 리듬을 반복하면서 (여덟 개의 다른 마디로 구성되어있을 뿐이다. 기타 초보라도 칠 수 있는 쉬운 곡이다.) 본인의 목소리를 얹어 '눈물이 아닌 시간을 믿으라' 라고 호소하는 <Drama>와, 여러 악기를 동원해 어쩌면 뜬금없기까지 한 '브로콜리가 내게 말하기 시작해 우리 그만 헤어져' 라는 가사를 노래하는 <브로콜리의 위험한 고백> 역시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April> (2003)

[Bluedawn] by 푸른 새벽



많이 울었었지

한참을 그래왔지

4월이 가기 전엔

눈부신 햇살과

나를 기다리는 널

떠올릴 수 있는 April

<April>


같은 앨범 안에서도 이렇게 분위기가 다른데 하물며 다른 앨범들은 어떻겠는가. 몇 일자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TV 소리를 배경으로 1절 2절 후렴 따위의 형식은 가뿐히 무시해버리는 1분 54초짜리 트랙 <April>은 [Bluedawn]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곡이다. 



<흙> (2013)

[날마다 타인] by 한희정



그 곳엔 분명

아무 것도 없어보였는데

밤새 물 한 모금

마시게 한 것밖에 없었는데

무서워 두려워

작고 파란 게 돋아났어

그 어두운 곳에서

난 그걸 쉽게 뽑아버리고는

물 한 모금 마시게 했지

<흙>


재작년 발표된 [날마다 타인]도 다채로운 색깔의 트랙들을 엿볼 수 있는 앨범이었다. 디스코, 50인조 오케스트라, 해금연주, 어쿠스틱... '나는 이제 홍대여신이 아니라 홍대여(자댄싱머)신이다' 라는 선언, <방송의 적>에서 한 농담같은 이야기지만 <흙>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순간 수긍할 수밖에 없다. 한희정의 어설픈 발레동작으로 꾸며진 뮤직비디오와 장난스러우면서도 진지한 사고들을 담고 있는 가사, 한희정의 것이라고는 도무지 믿기 힘든 뿅뿅거리는 디스코풍의 음악. '재미있는 거 하겠다' 라는 말을 잘 지켰다.


정규 2집 발매 단독콘서트에서 한희정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자기 음악은 '관계' 를 노래하는 것 같고, [날마다 타인]은 그 중에서도 인정과 수용 이야기라고. 앨범 이름과 같은 트랙 <날마다 타인>을 듣다 보면 무슨 이야기인지 알 것도 같은 느낌이다. (인터뷰에서 본 이야기인데) 헤어진 연인과의 재결합을 바랐지만 잘 안됐다는 뒷배경을 알게 되면 더욱더.



<날마다 타인> (2013)

[날마다 타인] by 한희정


너는 마치 거대한 바위처럼

여기저기 흩뿌려져있다

여기저기 흩어져있다

나는 매일 거대한 바위들을

온 몸으로 조금씩

힘겹게 밀어낸다

<날마다 타인>


요즘 한희정이 노래를 부르는 영상을 보면 도통 조용히 부를 때가 없다. (..) 이전 소위 '홍대여신' 같았던 노래들도 전부 시끄럽게 부르던데, 17일 발표된다는 EP [Slow Dance] 다음 앨범은 혹시 헤비메탈이 나올지도 모르는 일이니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어야겠다.


변화하는 뮤지션은 항상 좋다.

'일상과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물, 그리고 파파이스  (2) 2016.03.30
아주 평범한 음악 이야기 (4)  (0) 2015.09.22
아주 평범한 음악 이야기 (2)  (0) 2015.09.18
아주 평범한 음악 이야기 (1)  (0) 2015.09.16
안녕, 핑크문  (0) 2015.06.01
Posted by 김에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