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먹고 상상마당에 들렀다. 마음에 쏙 드는 전시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한국대중음악상> 10주년 기념 전시회. (3월 1일에 하는 콘서트 표 신청했었는데 다른 일이랑 겹쳐서 못 갔다 ㅠㅠ)
<한국대중음악상> 은 2004년 시작한 음악상인데, 이전 해 12월 1일부터 당해 11월 30일까지의 음악을 심사하여 (기준은 대체로 음악성이다) 상을 준다. 고로 올해 2013년 10회에서는 2011년 12월 1일부터 2012년 11월 30일까지 나온 음악들이 평가를 받은 것이다. 현재 방송사 주도 내지는 음반 판매량을 기준으로 선정하는 여타 음악상들보다 더 훌륭한 상이다. '음악성' 이 제1의 평가기준이긴 하지만, 매년 후보로 선정되는 음악들과 실제 수상작들을 보면 대중성이나 파급력 역시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다. (가령 올해는 GD나 f(x) 등이 '최우수 랩&힙합 음악' 과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악' 에서 수상했다. 이런 상이라고 꼭 아이돌을 배제시켜야 한다는 법은 없으니 좋은 선정인 셈이다.)
차례대로 1회, 2회, 3회, 4회의 트로피다. 제일 오른쪽에 놓여있는 것이 5회부터 현재까지의 트로피.
정육면체에 구멍이 뚫린 단순한 모양이라 좀 멋이 없을 수도 있지만, '음악 자체에 주목하는 한국대중음악상의 특성에 맞추어 스피커에서 기본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것' 이라고 한다.
2004년 1회 '올해의 음반' 수상작 더더의 [The The Band]
개인적으로 한희정을 굉장히 좋아해서 흐뭇하다.
수상소감! JNH뮤직 대표 이주엽씨의 '돈으로 꿈을 살 수 없다' 라는 말이 참 인상깊었다. (첨언하자면, JNH뮤직은 최백호, 전제덕, 박주원 등의 유명 뮤지션이 소속되어있다.)
2007년 4회 '올해의 노래' 와 '최우수 팝 노래' 수상작 이한철의 '슈퍼스타'
이한철 노래는 감성적으로 굉장히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느낌이라서 좋아한다.
2009년 6회 '올해의 노래' '최우수 록 노래'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남자' 수상작 장기하의 '싸구려 커피'
이 해 후보로 Nobody(원더걸스) 뜨거운 안녕(토이) R.P.G Shine(W&Whale) 아름다운 것(언니네 이발관) 등이 있었는데 장기하가 받았다. 이 해 가장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노래니까 당연한 결과겠지만...
여기서 인상깊게 읽은 부분이라면, '이 상이 저의 어제에 준 것이 아니라 내일에 준 상이라 생각한다'
2010년 7회 수상작들. '올해의 노래' (소녀시대 Gee) '올해의 신인' '최우수 록 노래' (국카스텐 거울) '올해의 신인' 아폴로 18 [The Red Album] (올해의 신인은 공동수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 를 수상한 브라운아이드걸스의 [Sound-G] 'Abdacadabra'
Gee의 수상은 '당해 대중음악계의 가장 큰 흐름이 걸그룹 열풍이었다' 라는 사실에 기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곳에서 발휘되는 합리적인 수상작 선정이 참 맘에 든다.
지금은 해체하고 없는 서울전자음악단이 2010년 [Life Is Strange]로 '올해의 음반' 과 '올해의 음악인' '최우수 록 음반' 을 수상했다. 처음 서울전자음악단을 알게 된 계기였는데 굉장히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음악이 사라지는 건 아니니까 그걸 위로로 삼아야 할까.
국카스텐과 아폴로18의 패기甲 수상소감
2012년 9회 시상식에서 장기하와 얼굴들은 [장기하와 얼굴들]로 '올해의 음반' '최우수 록 음반' 을, '그렇고 그런 사이' 로 '최우수 록 노래' 를 수상했으며 '올해의 음악인'까지 휩쓸어 4관왕에 올랐다. 한국대중음악상 역대 수상 결과에서 4관왕은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위에 장기하나 서울전자음악단을 봐도 알 수 있지만, 3관왕은 몇 번 나왔다.
10회 시상식이 2월 28일에 있었는데, 2월 26일부터의 전시라 후보들의 CD가 저렇게 꽂혀있다.
응원의 한마디.
전시장은 작지만 이러한 풍경이다.
위 메모에 한 마디 적었더니 2011년 8회 Nominees 음반을 받았다.
수상 결과라는 건 어차피 인터넷에서 다 확인할 수 있는 만큼 뭔가 엄청난 것이 있는 전시회는 아니다. 다만 인터넷에서 몇 줄의 텍스트와 몇 장의 이미지를 보는 것보다, 그 동안 이 상이 이렇게 걸어왔구나 하는 소감을 확실히 느끼기엔 좋았다. 만일 자기가 듣는 몇몇 장르의 음악 외에 다른 한국 음악에 관심이 없었다면, 후보로 선정된 음반과 노래들을 감상해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2013 한국대중음악상 (바로가기)
관련 기사 <한국대중음악상 10돌 음악하기 힘든 나라에서 그들은 꿈을 노래했다> (바로가기)
'일상과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러시 아워 콘서트 5 - 3호선 버터플라이 <Dreamtalk> (0) | 2013.11.12 |
---|---|
한희정 정규 2집 발매 기념 단독콘서트 '날마다 타인' (0) | 2013.09.01 |
캐스커 10주년 기념 단독콘서트 10(TEN) (3) | 2013.09.01 |
설국열차 재관람 후 궁금해진 떡밥 (3) | 2013.08.17 |
밤의 경복궁 유람 (0) | 2012.05.18 |